쳇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는 OpenAI에서 출판한 자연어 생성 모델이다.
쳇GPT는 기계가 만들어내는 자연어가 사람과 비슷하게 느껴지도록 사람이 쓴 텍스트를 많이 학습하도록 설계된 모델이다.
쳇GPT는 자연어 처리와 자연어 생성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쳇GPT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인식하여 이를 기반으로 인간과 같은 방식으로 자연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쳇GPT는 인간이 작성한 문장의 의미를 비슷하게 이해하고 서로 다른 문장을 생성한다.
쳇gpt 사용방법
영어가 기반 모델이라 영어로 질문을 했을때 비교적 빠른 답변을 얻을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로 질문을 할경우 반응 속도도 느릴뿐더러 대답도 엉터리로 하는 경우가 많다.
답을 보다 정확하게 얻고자 한다면 영어로 질문하는 것이 좋다.
쳇gpt 제대로 활용하는 팁
역할을 부여하여 질문하기
의사로서, 기업CEO로서, OO전문가로서 등등 역할을 부여하여 질문을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의사로서 00은 어떻게 치료하는게 좋다고 생각해?- 기업CEO로서 00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대상에 맞는 수준으로 질문하기
원하는 대상과 함께 내용을 질문하면 된다.
- 갖난 아기도 이해할수 있게 00에 대해 알려줘
- 일반인도 이해할수 있게 00에 대해 쉽게 설명해줘
- 전문가만 알수 있게 00에 대해 알려줘
- 논문에서나 볼수 있는 것처럼 00에 대해 알려줘
프로그래밍, 코딩 개발에 활용하기
코드 작성하기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 코드를 요청하면 쳇GPT가 작성을 해준다.
- 파이썬 언어로 00코드 작성해줘
- 자바 언어로 코드 작성해줘
- C# 언어로 00코드 작성해줘
- 자바스트립트로 00언어 코드 작성해줘
코드 오류 감지 및 수정 요청하기
코드에 문제를 파악할수 없을때 힘들다면 챗GPT에 물어보고 오류 수정 지시까지 할 수 있다.
- 이 코드에 어떤 오류가 있는지 알려줘
- 이 코드의 오류를 해결 할수 있는 코드를 알려줘
코드 해석하기
코드를 작성해 놓고도 이해하기 힘들때 혹은 남들이 작성한 코드를 해석을 물어 볼수 있습니다.
- 이 코드가 무슨 뜻인지 알려줘
- 이 코드의 기능을 알려줘
- 이 코드가 무슨 역할을 하는지 알려줘
- 이 코드하 하는 일을 알려줘
글 쓰기
뉴스 요약하기
평소 관심 있는 뉴스나 시사 내용등 챗GPT에게 요약을 해서 설명해달라고 하면 쉽고 빠르게 알 수 있다.
아래 뉴스를 1000자이내로 요약해줘
"
뉴스내용~
"
텍스트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를 해주면 된다.
블로그 글쓰기
글을 쓰는 것은 뉴스 요약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요약을 하거나 주제를 알려주면 그에 대한 내용을 설명해주기에 블로그글에 이용을 해도 크게 문제가 될것은 없다고 본다.
그러나 이 글이 노출이 될지의 문제는 확실하지 않다는 것이다.
아직은 챗GPT에 사용빈도가 높지 않아서 이러한 문제가 확실하지 않지만 추후 검색엔진에서 저품질의 위험성도 있다는 것을 배제할수는 없다.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공식적으로 인공지능이 작성했다는 이유만으로 패널티를 부여하지 않을거라고는 했지만 글의 품질이 낮을 경우에는 패널티를 부여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블로그 글쓰기에 대한 나의 결론은
블로그 글을 쓴다면 100% 쳇GPT에 의한 글을 사용하지는 말자이다.
초안으로 작성한 글이 만들어지면 글에 대해서 사람이 살을 붙이고 수정을 하는 식으로 해서 시간을 줄이는 방법이 좋을것 같다.
쳇GPT의 한계
글로만 답을 들을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 직접 이미지나 영상을 봐야 하는 질문에는 한계를 느낄수 밖에 없다.
건강 의료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없다. 단 건강 관련에 대해서 알려진 상식에 대해서는 답변을 얻을 수 있다.